사역자 이야기 지난 주일 사역이 끝나고 약속이 있었다. 나와 같이 공부하였던 1학차 빠른 목사님과의 만남이다. 기숙사에서 같은 호실에 배정 받아 몇 학기를 같이 생활하였다. 자연스레 신앙이며, 사역에 대한 부분에 대하여 생각과 고민을 공유하고 있었던 터였다. '나는 어떤 신대원생이었을까?' 하.. [일간한스] 2019.01.22
그렇게 사시면 안되죠? 내가 사역자의 길을 걸으면서 변한 것이 있다면 내 마음의 분노, 내가 심판하고자 하는 그 분노를 내려 놓았다는 것이다. 심판은 하나님에게 있다는 것을 절실하게 깨닫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다. 요즘 문정부가 만만한지, 훈수하느라 바쁘다. 깍아내리고, 모함하고, 흠짓 내느.. [일간한스] 2019.01.18
바나바를 선택하는 사람들 나는 말보다 글이 빠른 사람이다. 그래서 가능하다면 좀처럼 말을 하지 않는다. 과묵하다. 글로 하는 난상토론은 가능한데, 말로 하는 토론에서는 항상 후회와 미련이 밀려온다. 글을 쓰면서 정리되는 것처럼 말을 하면서 정리하는 내공이 부족하다. 사역자가 되면서 폰의 번호도 바꾸고, .. [일간한스] 2019.01.09
요한복음(31) 실망스러운 제자1(도마) 요14:1-11 요한복음(31) 동백두레교회/주일예배 2017.12.31 한스킴 요한복음 14:1-11 (1)1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으니 또 나를 믿으라 2내 아버지 집에 거할 곳이 많도다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일렀으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하러 가노니 3가서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 그런기독교는없습니다1/요한복음강해 2019.01.01
깔뱅과 바르트의 성서해석 비교 Ⅰ. 서 론 교회사의 입장에서 볼때 16세기에 일어난 종교개혁은 성서에 대한 새로운 의식을 가져다 주었다. “sola scriptura”이 한마디에서 중세와 16세기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즉, ‘성서를 볼때 어떻게 이해하느냐’ 라고 하는 관점은 성서 해석의 열쇠를 교회의 권위에다 두느냐, 아니.. 카테고리 없음 2018.11.18
칼바르트의 삼위일체론 Ⅰ. 들어가는 말 16세기 루터와 칼빈에 의해서 시작된 종교개혁은 신학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이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17세기에는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을 정통으로 이어받은 신학사조가 대두되어 성경의 축자영감을 절대적으로 믿으며 신학의 난제인 삼위일체론과 예정론등의 교리를 .. 그런기독교는없습니다3/조직신학이야기 2018.11.18
칼바르트의 그리스도론 칼 바르트의 신학에 있어서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의 의미 1. 너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 16:16)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이 질문은 비단 예수님이 그당시 자기 제자들에게만 국한해서 던진 질문만은 아니다. 세상에 태.. 그런기독교는없습니다3/조직신학이야기 2018.11.08
칼 바르트의 교회론 요약 칼바르트의 교회론: 교회가 무엇인가? 교회의 존재이유와 사명이 무엇이며, 세상 속의 교회의 형태, 교회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 라는 교회의 자문 문제는 초대 교회에서부터 있어 왔으며, 오늘까지 이어 오고 있다. 본서는 20세기 신학적 거성인 칼 바르트의 교회론을 그의 .. 그런기독교는없습니다3/교회론이야기 2018.11.04
칼 바르트의 화해론 제 I 장 서 론(序 論)1. 연구(硏究)의 목적(目的) K·바르트는 20세기에 신학적 르네상스를 일으킨 사상가라고 D·D·윌리암스의 “최근의 신학”에서 말하고 있다. 19세기의 그리스도 교회는 교회 본연의 사명을 잊어버리고 세속적인 자유주의 사상에 물들었던 결과 세상 사람들에게 도리.. 그런기독교는없습니다3/조직신학이야기 2018.10.31